BLOG main image
분류 전체보기 (17)
Life (2)
Dump Analysis (9)
Reversing (1)
Windows (1)
Book (2)
Reference (2)
Visitors up to today!
Today hit, Yesterday hit
daisy rss
tistory 티스토리 가입하기!
'windows'에 해당되는 글 2건
2018. 7. 7. 23:48

이번 덤프의 BugCheck는 0x50이다. 0x50은 대부분 다른 모듈이 메모리를 손상시켰거나 정말 유효하지 않은 메모리나 해제된 메모리를 접근할 때 주로 발생한다. 원인에 따라 분석이 불가능한 경우도 많다.

다행히 이번 덤프는 어렵지 않으면서 재미도 있으니 가벼운 마음으로 시작해보자.

kd> !analyze -v

*******************************************************************************

*      *

*      Bugcheck Analysis   *

*      *

*******************************************************************************

PAGE_FAULT_IN_NONPAGED_AREA (50)

Invalid system memory was referenced.  This cannot be protected by try-except.

Typically the address is just plain bad or it is pointing at freed memory.

Arguments:

Arg1: ffff0000, memory referenced.

Arg2: 00000000, value 0 = read operation, 1 = write operation.

Arg3: 82ad19fe, If non-zero, the instruction address which referenced the bad memory

       address.

Arg4: 00000000, (reserved)

 

Debugging Details:

------------------

DUMP_CLASS: 1

DUMP_QUALIFIER: 401

BUILD_VERSION_STRING:  7601.17514.x86fre.win7sp1_rtm.101119-1850

SYSTEM_MANUFACTURER:  VMware, Inc.

VIRTUAL_MACHINE:  VMware

SYSTEM_PRODUCT_NAME:  VMware Virtual Platform

SYSTEM_VERSION:  None

BIOS_VENDOR:  Phoenix Technologies LTD

BIOS_VERSION:  6.00

BIOS_DATE:  07/31/2013

BASEBOARD_MANUFACTURER:  Intel Corporation

BASEBOARD_PRODUCT:  440BX Desktop Reference Platform

BASEBOARD_VERSION:  None

DUMP_TYPE:  1

BUGCHECK_P1: ffffffffffff0000

BUGCHECK_P2: 0

BUGCHECK_P3: ffffffff82ad19fe

BUGCHECK_P4: 0

READ_ADDRESS:  ffff0000

 

FAULTING_IP:

nt!strstr+1e

82ad19fe 8a07            mov     al,byte ptr [edi]

 

MM_INTERNAL_CODE:  0

CPU_COUNT: 1

CPU_MHZ: e07

CPU_VENDOR:  GenuineIntel

CPU_FAMILY: 6

CPU_MODEL: 3c

CPU_STEPPING: 3

CPU_MICROCODE: 6,3c,3,0 (F,M,S,R)  SIG: 19'00000000 (cache) 19'00000000 (init)

DEFAULT_BUCKET_ID:  WIN7_DRIVER_FAULT

BUGCHECK_STR:  0x50

PROCESS_NAME:  MyApp.exe

CURRENT_IRQL:  2

ANALYSIS_SESSION_HOST:  PAUL-PC

ANALYSIS_SESSION_TIME:  11-29-2017 10:35:11.0546

ANALYSIS_VERSION: 10.0.10575.567 amd64fre

 

TRAP_FRAME:  89812c30 -- (.trap 0xffffffff89812c30)

ErrCode = 00000000

eax=ffff0000 ebx=00000000 ecx=9213a600 edx=ffff4d5c esi=ffff0000 edi=ffff0000

eip=82ad19fe esp=89812ca4 ebp=89813bfc iopl=0         nv up ei pl nz na pe nc

cs=0008  ss=0010  ds=0023  es=0023  fs=0030  gs=0000             efl=00010206

nt!strstr+0x1e:

82ad19fe 8a07            mov     al,byte ptr [edi]          ds:0023:ffff0000=??

Resetting default scope

 

LAST_CONTROL_TRANSFER:  from 82a933d8 to 82ae041b

 

STACK_TEXT: 

89812c18 82a933d8 00000000 ffff0000 00000000 nt!MmAccessFault+0x106

89812c18 82ad19fe 00000000 ffff0000 00000000 nt!KiTrap0E+0xdc

89813bfc 82a89593 84525860 843f0858 843f0858 nt!strstr+0x1e

89813c14 82c7d99f 84489e18 843f0858 843f08c8 nt!IofCallDriver+0x63

89813c34 82c80b71 84525860 84489e18 00000000 nt!IopSynchronousServiceTail+0x1f8

89813cd0 82cc73f4 84525860 843f0858 00000000 nt!IopXxxControlFile+0x6aa

89813d04 82a901ea 0000015c 00000000 00000000 nt!NtDeviceIoControlFile+0x2a

89813d04 76fd70b4 0000015c 00000000 00000000 nt!KiFastCallEntry+0x12a

0012f7f0 00000000 00000000 00000000 00000000 0x76fd70b4

 

STACK_COMMAND:  kb

THREAD_SHA1_HASH_MOD_FUNC:  1d162d18111a222172b462becb3845e53e690213

THREAD_SHA1_HASH_MOD_FUNC_OFFSET:  d3c548c893cd75b9806e6f8940169c9ae8e41dba

THREAD_SHA1_HASH_MOD:  cb5f414824c2521bcc505eaa03e92fa10922dad8

 

FOLLOWUP_IP:

nt!strstr+1e

82ad19fe 8a07            mov     al,byte ptr [edi]

 

FAULT_INSTR_CODE:  c683078a

SYMBOL_STACK_INDEX:  2

SYMBOL_NAME:  nt!strstr+1e

FOLLOWUP_NAME:  MachineOwner

MODULE_NAME: nt

IMAGE_NAME:  ntkrpamp.exe

DEBUG_FLR_IMAGE_TIMESTAMP:  4ce78a09

IMAGE_VERSION:  6.1.7601.17514

FAILURE_BUCKET_ID:  0x50_nt!strstr+1e

BUCKET_ID:  0x50_nt!strstr+1e

PRIMARY_PROBLEM_CLASS:  0x50_nt!strstr+1e

TARGET_TIME:  2017-11-28T10:00:12.000Z

OSBUILD:  7601

OSSERVICEPACK:  1000

SERVICEPACK_NUMBER: 0

OS_REVISION: 0

SUITE_MASK:  272

PRODUCT_TYPE:  1

OSPLATFORM_TYPE:  x86

OSNAME:  Windows 7

OSEDITION:  Windows 7 WinNt (Service Pack 1) TerminalServer SingleUserTS

OS_LOCALE: 

USER_LCID:  0

OSBUILD_TIMESTAMP:  2010-11-20 17:42:49

BUILDDATESTAMP_STR:  101119-1850

BUILDLAB_STR:  win7sp1_rtm

BUILDOSVER_STR:  6.1.7601.17514.x86fre.win7sp1_rtm.101119-1850

ANALYSIS_SESSION_ELAPSED_TIME: 83a

ANALYSIS_SOURCE:  KM

FAILURE_ID_HASH_STRING:  km:0x50_nt!strstr+1e

FAILURE_ID_HASH:  {955d5f89-fa0e-8221-ae1a-1f21f03e2986}

Followup:     MachineOwner

---------


가장 먼저 .trap 명령을 사용해서 문제가 발생한 부분으로 컨텍스트를 맞춰야한다.

kd> .trap 0xffffffff89812c30

ErrCode = 00000000

eax=ffff0000 ebx=00000000 ecx=9213a600 edx=ffff4d5c esi=ffff0000 edi=ffff0000

eip=82ad19fe esp=89812ca4 ebp=89813bfc iopl=0         nv up ei pl nz na pe nc

cs=0008  ss=0010  ds=0023  es=0023  fs=0030  gs=0000             efl=00010206

nt!strstr+0x1e:

82ad19fe 8a07            mov     al,byte ptr [edi]          ds:0023:ffff0000=??


nt!strstr+0x1e 명령을 수행하다 ffff0000 주소가 유효하지 않아 문제가 발생했다.

kv 명령으로 파라미터를 포함한 콜 스택을 확인해보자.

kd> kv

  *** Stack trace for last set context - .thread/.cxr resets it

 # ChildEBP RetAddr  Args to Child             

00 89813bfc 82a89593 84525860 843f0858 843f0858 nt!strstr+0x1e

01 89813c14 82c7d99f 84489e18 843f0858 843f08c8 nt!IofCallDriver+0x63

02 89813c34 82c80b71 84525860 84489e18 00000000 nt!IopSynchronousServiceTail+0x1f8

03 89813cd0 82cc73f4 84525860 843f0858 00000000 nt!IopXxxControlFile+0x6aa

04 89813d04 82a901ea 0000015c 00000000 00000000 nt!NtDeviceIoControlFile+0x2a

05 89813d04 76fd70b4 0000015c 00000000 00000000 nt!KiFastCallEntry+0x12a (FPO: [0,3] TrapFrame @ 89813d34)

06 0012f7f0 00000000 00000000 00000000 00000000 0x76fd70b4


콜 스택을 보면 IofCallDriver 함수 내부에서 호출된 strstr 함수를 수행하다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얼핏 봐서는 이상한 부분이 전혀 없지만 실은 굉장히 이상한 상황이다. IofCallDriver 함수 내부에는 strstr 함수를 부르는 곳이 없기 때문이다.

이게 도대체 무슨 소리인가? 부르지도 않은 함수가 콜 스택에 표시된다니 정말 말도 안 되는 상황이다. 사실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IofCallDriver 함수의 디스어셈블리 코드를 살펴 보자.

kd> u nt!IofCallDriver L30

nt!IofCallDriver:

82a8952f 8bff            mov     edi,edi

82a89531 55              push    ebp

82a89532 8bec            mov     ebp,esp

82a89534 51              push    ecx

82a89535 a15ccabb82      mov     eax,dword ptr [nt!pIofCallDriver (82bbca5c)]

82a8953a 56              push    esi

82a8953b 8bf1            mov     esi,ecx

82a8953d 33c9            xor     ecx,ecx

82a8953f 3bc1            cmp     eax,ecx

82a89541 7409            je      nt!IofCallDriver+0x1d (82a8954c)

82a89543 ff7504          push    dword ptr [ebp+4]

82a89546 8bce            mov     ecx,esi

82a89548 ffd0            call    eax

82a8954a eb47            jmp     nt!IofCallDriver+0x63 (82a89593)

82a8954c fe4a23          dec     byte ptr [edx+23h]

82a8954f 384a23          cmp     byte ptr [edx+23h],cl

82a89552 7f0c            jg      nt!IofCallDriver+0x30 (82a89560)

82a89554 51              push    ecx

82a89555 51              push    ecx

82a89556 51              push    ecx

82a89557 52              push    edx

82a89558 6a35            push    35h

82a8955a e8a3790a00      call    nt!KeBugCheckEx (82b30f02)

82a8955f cc              int     3

82a89560 8b4260          mov     eax,dword ptr [edx+60h]

82a89563 83e824          sub     eax,24h

82a89566 894260          mov     dword ptr [edx+60h],eax

82a89569 8a08            mov     cl,byte ptr [eax]

82a8956b 897014          mov     dword ptr [eax+14h],esi

82a8956e 80f916          cmp     cl,16h

82a89571 7514            jne     nt!IofCallDriver+0x57 (82a89587)

82a89573 8a4001          mov     al,byte ptr [eax+1]

82a89576 3c02            cmp     al,2

82a89578 7404            je      nt!IofCallDriver+0x4e (82a8957e)

82a8957a 3c03            cmp     al,3

82a8957c 7509            jne     nt!IofCallDriver+0x57 (82a89587)

82a8957e 8bf2            mov     esi,edx

82a89580 e8b6f2fdff      call    nt!IopPoHandleIrp (82a6883b)

82a89585 eb0c            jmp     nt!IofCallDriver+0x63 (82a89593)

82a89587 8b4608          mov     eax,dword ptr [esi+8]

82a8958a 52              push    edx

82a8958b 0fb6c9          movzx   ecx,cl

82a8958e 56              push    esi

82a8958f ff548838        call    dword ptr [eax+ecx*4+38h]

82a89593 5e              pop     esi

82a89594 59              pop     ecx

82a89595 5d              pop     ebp

82a89596 c3              ret


내 눈에는 strstr 함수를 호출하는 부분이 보이지 않는다. call dword ptr [eax+ecx*4+38h] 부분이 조금 의심스럽긴하다. 디스어셈블리 코드가 어려우니 간단한 의사 코드(Pseudo code)로 바꾼 코드를 보자.

NTSTATUS

IofCallDriver(

    IN PDEVICE_OBJECT DeviceObject,

    IN OUT PIRP Irp

    )

{

    PIO_STACK_LOCATION pIoStackLocation;

    PDRIVER_OBJECT pDriverObject;

    NTSTATUS ntStatus;

 

    /* 조건에 따른 pIofCalldriver 함수 호출 */

 

    Irp->CurrentLocation--;

 

    // NO_MORE_IRP_STACK_LOCATIONS(0x35) 에러 처리

    if (Irp->CurrentLocation <= 0)

    {

        KiBugCheckEx(NO_MORE_IRP_STACK_LOCATIONS, Irp, 0, 0, 0);

    }

   

    pIoStackLocation = IoGetNextIrpStackLocation( Irp );

    Irp->Tail.Overlay.CurrentStackLocation = pIoStackLocation;

    pIoStackLocation->DeviceObject = DeviceObject;

    pDriverObject = DeviceObject->DriverObject;

 

    // IRP 요청에 따른 드라이버의 디스패치 루틴 함수 호출

    ntStatus = pDriverObject->MajorFunction[pIoStackLocation->MajorFunction](DeviceObject, Irp);

 

    /* 조건에 따른 IopPoHandleIrp 함수 호출 */

 

    return ntStatus;

}


어떤가? 어디에도 strstr 함수는 보이지 않는다. 나도 처음에는 굉장히 당황스럽고 혼란스러웠다.

다행히 예전에 IofCallDriver 함수를 분석해 본 경험이 있어 이상하다고 생각할 수 있었다.

이런 상황이라면 스택 정보에 문제가 있어 WinDbg가 정상적인 콜 스택을 보여주지 못하는 것은 아닌지 의심해볼 필요가 있다.

 

스택 정보를 담고 있는 곳은 esp(64비트는 rsp). dps esp 명령을 사용하면 콜 스택을 보는 k 명령으로 보여주지 않는 원본 스택 내용을 출력할 수 있다.

이 방법을 통해 스택에서 진짜 함수 호출의 흔적을 찾을 수 있다.

kd> dps esp

89812ca4  84525860

89812ca8  00000000

89812cac  84489e18

89812cb0  9213a4d1 MyDrv+0x44d1                // 2) 의심 부분

89812cb4  ffff0000

89812cb8  9213a600 MyDrv+0x4600                // 1) 의심 부분

89812cbc  00000060

89812cc0  ffff0000

89812cc4  00000000

89812cc8  00000000

89812ccc  0000000a

89812cd0  00000000

89812cd4  88173470

89812cd8  00000000

89812cdc  00000000

89812ce0  89812ca0

89812ce4  8454ba60

89812ce8  8d7e19ea

89812cec  9e50224a

89812cf0  88e1bb88

89812cf4  00000006

89812cf8  87148cde Ntfs!NtfsReadMftRecord+0x236

89812cfc  88e1ba98

89812d00  92d7c6a0

89812d04  8d7e1800

89812d08  00080008

89812d0c  89812d3c

89812d10  87163f6d Ntfs!NtfsFileIsEqual+0x56

89812d14  89812d2c

89812d18  89812d34

89812d1c  00000001

89812d20  896d4000


놀랍게도 콜 스택에 보이지 않던 MyDrv모듈의 함수 호출 흔적이 확인된다.

함수가 호출되면 esp에 함수 수행 후 복귀할 리턴 주소인 함수 호출 명령 다음 위치가 저장된다는 사실을 떠올려보자.

esp MyDrv 관련된 주소 두 곳이 보이는데, ub 명령으로 역 디스어셈블링했을 때 strstr 함수를 호출하는 부분이 바로 리턴 주소다.

1)번 위치인 MyDrv+4600 먼저 확인해보자.

kd> ub MyDrv+0x4600

MyDrv+0x45f8:

9213a5f8 cc              int     3

9213a5f9 cc              int     3

9213a5fa cc              int     3

9213a5fb cc              int     3

9213a5fc cc              int     3

9213a5fd cc              int     3

9213a5fe cc              int     3

9213a5ff cc              int     3


strstr 함수 호출 부분이 확인되지 않으니 찾는 부분이 아니다.

다음 2)번 위치인 MyDrv+44d1을 확인해보자.

kd> ub MyDrv+44d1

MyDrv+0x44ab:

9213a4ab c7411c00000000  mov     dword ptr [ecx+1Ch],0

9213a4b2 eb57            jmp     MyDrv+0x450b (9213a50b)

9213a4b4 e857cbffff      call    MyDrv+0x1010 (92137010)

9213a4b9 8985c4f0ffff    mov     dword ptr [ebp-0F3Ch],eax

9213a4bf 6800a61392      push    offset MyDrv+0x4600 (9213a600)

9213a4c4 8b95c4f0ffff    mov     edx,dword ptr [ebp-0F3Ch]

9213a4ca 52              push    edx

9213a4cb ff1558801392    call    dword ptr [MyDrv+0x2058 (92138058)]


의미있는 정보가 나온다. 마지막 시점에 MyDrv+0x2058(92138058)가 가리키는 주소로 함수를 호출한다.

dword ptr 명령으로 92138058 주소를 참조하고 있으니 poi 명령으로 함수 호출한 부분을 확인해보자.

kd> u poi(92138058)

nt!strstr:

82ad19e0 8b4c2408        mov     ecx,dword ptr [esp+8]

82ad19e4 57              push    edi

82ad19e5 53              push    ebx

82ad19e6 56              push    esi

82ad19e7 8a11            mov     dl,byte ptr [ecx]

82ad19e9 8b7c2410        mov     edi,dword ptr [esp+10h]

82ad19ed 84d2            test    dl,dl

82ad19ef 746f            je      nt!strstr+0x80 (82ad1a60)


빙고! strstr 함수가 나온다. 스택의 2)번 위치인 MyDrv+0x44d1에서 strstr 함수를 호출했음이 밝혀졌다.

이제 문제 발생 원인에 초점을 맞춰보자. MyDrv 모듈에서 strstr 함수 호출시 전달한 파라미터에 문제가 있었을 가능성이 높다.

strstr 함수는 원본 문자열에 검색 문자열이 있을 경우 일치하는 원본 문자열의 첫 번째 위치를 리턴해주는데 함수 원형은 다음과 같다.

PTSTR StrStr(

    _In_ PTSTR  pszFirst,

    _In_ PCTSTR pszSrch

);


함수 원형은 확인했으니 다시 dps esp 명령으로 스택 정보를 확인해보자.

kd> dps esp L10

89812ca4  84525860

89812ca8  00000000

89812cac  84489e18

89812cb0  9213a4d1 MyDrv+0x44d1         // esp+c : 리턴 어드레스

89812cb4  ffff0000                      // esp+10 : 번째 파라미터

89812cb8  9213a600 MyDrv+0x4600         // esp+14 : 번째 파라미터

89812cbc  00000060

89812cc0  ffff0000

89812cc4  00000000

89812cc8  00000000

89812ccc  0000000a

89812cd0  00000000

89812cd4  88173470

89812cd8  00000000

89812cdc  00000000

89812ce0  89812ca0


원본 문자열인 pszFirst ffff0000이고, 검색할 문자열인 pszSrch 9213a600이다.

문제가 되는 함수가 문자열 함수여서 da 명령으로 파라미터 문자열을 출력해 보았다.

kd> da ffff0000

ffff0000  "????????????????????????????????"

ffff0020  "????????????????????????????????"

ffff0040  "????????????????????????????????"

ffff0060  "????????????????????????????????"

ffff0080  "????????????????????????????????"

ffff00a0  "????????????????????????????????"

ffff00c0  "????????????????????????????????"

ffff00e0  "????????????????????????????????"

ffff0100  "????????????????????????????????"

ffff0120  "????????????????????????????????"

ffff0140  "????????????????????????????????"

ffff0160  "????????????????????????????????"

 

kd> da 9213a600

9213a600  "\Microsoft\Windows\Burn\"


원본 문자열인 첫 번재 파라미터의 주소는 페이지 아웃되어 ??로 표시된다. 접근할 수 없는 영역이라는 의미다. 검색 문자열인 두 번째 파라미터에는 정상적인 경로 문자열이 확인된다.

잘못된 주소인 ffff0000에서 "\Microsoft\Windows\Burn\" 문자열이 있는지 찾으려고 시도하다 문제가 발생한 것이 원인이다.

그렇다면, 원본 문자열 주소인 ffff0000는 어디서 온 것일까? ffff0000 strstr 함수에 넘긴 첫 번째 파라미터니 strstr 함수를 호출한 MyDrv+44d1 부분을 다시 살펴보자.

kd> ub MyDrv+44d1

MyDrv+0x44ab:

9213a4ab c7411c00000000  mov     dword ptr [ecx+1Ch],0

9213a4b2 eb57            jmp     MyDrv+0x450b (9213a50b)

9213a4b4 e857cbffff      call    MyDrv+0x1010 (92137010)  // 1) 내부 함수 호출

9213a4b9 8985c4f0ffff    mov     dword ptr [ebp-0F3Ch],eax  // 2) eax ebp-f3c 저장

9213a4bf 6800a61392      push    offset MyDrv+0x4600 (9213a600)  // 3) MyDrv+0x4600 번째 파라미터로 push

9213a4c4 8b95c4f0ffff    mov     edx,dword ptr [ebp-0F3Ch]  // 4) ebp-f3c edx 저장

9213a4ca 52              push    edx                      // 5) edx 번째 파라미터로 push

9213a4cb ff1558801392    call    dword ptr [MyDrv+0x2058 (92138058)]       // 6) strstr 함수 호출


2)번을 보면 eax 값이 ebp-f3c에 저장되고, 4)번에서 다시 edx로 옮겨진다. 그리고 5)번을 보면 edx가 첫 번째 파라미터로 넘겨졌음을 알 수 있다.

eax 가 첫 번째 파라미터이므로 2)번 앞 쪽에서 eax를 설정한 곳을 찾아봐야 한다.

1)번에 함수가 하나 호출되는데 그 안에서 eax가 설정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보통 eax는 함수 호출 완료 후 리턴 값을 저장하는 용도로 사용되기 때문이다.

1)번에서 호출된 함수 주소인 92137010을 살펴보자.

kd> u 92137010 L6

MyDrv+0x1010:

92137010 8bff            mov     edi,edi

92137012 55              push    ebp

92137013 8bec            mov     ebp,esp

92137015 b80000ffff      mov     eax,0FFFF0000h         // ffff0000 eax 저장

9213701a 5d              pop     ebp

9213701b c3              ret


이런! 이 함수에서 ffff0000 값을 리턴하고 있다. 이 값이 결국 strstr 함수의 첫 번째 파라미터로 전달되어 문제가 발생한 것이다.

이제 ffff0000을 리턴한 문제의 함수를 확인해서 정상적인 값을 리턴하도록 변경하면 문제가 해결될 것이다.

 

나는 앞서 원인 분석에 집중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숨겨진 콜 스택이 발생한 이유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이제 문제 발생 원인에 대한 분석이 끝났으니 그 얘기를 마저 해보겠다.

콜 스택을 확인하는 k 명령으로 MyDrv의 콜 스택이 제대로 확인되지 않았던 이유는 strstr 함수가 컴파일된 방식에 원인이 있다.

다음은 strstr 함수와 memcpy 함수의 앞 부분을 비교한 내용이다.

<nt!strstr 함수 프롤로그>

kd> u nt!strstr

nt!strstr:

82ac59e0 8b4c2408        mov     ecx,dword ptr [esp+8]

82ac59e4 57              push    edi

82ac59e5 53              push    ebx

82ac59e6 56              push    esi

82ac59e7 8a11            mov     dl,byte ptr [ecx]

82ac59e9 8b7c2410        mov     edi,dword ptr [esp+10h]

82ac59ed 84d2            test    dl,dl

82ac59ef 746f            je      nt!strstr+0x80 (82ac5a60)

 

<nt!memcpy 함수 프롤로그>

kd> u nt!memcpy

nt!memcpy:

82a7f7c0 55              push    ebp

82a7f7c1 8bec            mov     ebp,esp

82a7f7c3 57              push    edi

82a7f7c4 56              push    esi

82a7f7c5 8b750c          mov     esi,dword ptr [ebp+0Ch]

82a7f7c8 8b4d10          mov     ecx,dword ptr [ebp+10h]

82a7f7cb 8b7d08          mov     edi,dword ptr [ebp+8]

82a7f7ce 8bc1            mov     eax,ecx


어떤 차이가 보이는가? 32비트 환경에서 함수 호출을 하게 되면 기본적으로 스택의 베이스 포인터인 ebp를 기준으로 스택을 구성하게 된다.

memcpy 함수처럼 "push ebp, mov ebp, esp" 로 원본 ebp를 스택에 저장하고 현재 esp를 기준으로 ebp를 재설정하는 패턴이 함수 시작시 수행된다.

k 명령도 이 ebp 를 기준으로 콜 스택을 보여준다. 하지만 strstr 함수의 경우 재미있게도 ebp를 사용하지 않고 64비트 환경처럼 esp 를 기준으로 함수가 동작하게 컴파일되어 있다.

다음은 CompareString 함수 안에서 strstr 함수를 호출하는 테스트 코드를 만들어 콜 스택을 확인한 결과다.


1. CompareString 함수에서 strstr 함수 호출 전 콜 스택 

kd> kv

 # ChildEBP RetAddr  Args to Child             

00 92237bc8 913da27b 00000388 00000388 82b7d944 MyDrv!CompareString+0x37 (FPO: [Non-Fpo]) (CONV: stdcall)

01 92237d28 82a841ea 00000388 01f4f900 771670b4 MyDrv!TestMain+0x4b (FPO: [Non-Fpo]) (CONV: stdcall)

02 92237d28 771670b4 00000388 01f4f900 771670b4 nt!KiFastCallEntry+0x12a (FPO: [0,3] TrapFrame @ 92237d34)

 

kd> ub 913d9d3e

MyDrv!CompareString+0x26

913d9d27 7507            jne     MyDrv!CompareString+0x2f (913d9d30)

913d9d29 32c0            xor     al,al

913d9d2b e9b3000000      jmp     MyDrv!CompareString+0xe2 (913d9de3)

913d9d30 8b55d0          mov     edx,dword ptr [ebp-30h]

913d9d33 52              push    edx

913d9d34 8b45dc          mov     eax,dword ptr [ebp-24h]

913d9d37 50              push    eax

913d9d38 ff15f4103e91    call    dword ptr [MyDrv!_imp__strstr (913e10f4)]  // 현재 strstr 함수를 호출하기 직전 상태


2. CompareString 함수에서 strstr 함수 호출 직후 콜 스택 

kd> kv

 # ChildEBP RetAddr  Args to Child             

00 92237bc8 913da27b 00000388 00000388 82b7d944 nt!strstr

01 92237d28 82a841ea 00000388 01f4f900 771670b4 MyDrv!TestMain+0x4b (FPO: [Non-Fpo]) (CONV: stdcall)

02 92237d28 771670b4 00000388 01f4f900 771670b4 nt!KiFastCallEntry+0x12a (FPO: [0,3] TrapFrame @ 92237d34)


예상대로 strstr 함수 내부에서 ebp를 설정하는 부분이 없으므로 CompareString 함수에 대한 콜 스택이 표시되지 않고 사라졌다.

이처럼 함수에 따라 예상과는 다른 코드 패턴으로 컴파일될 수 있다는 사실을 기억하자.

이 외에도 스택 오버플로우나 jmp를 이용한 코드 후킹 기법 등에 의해 스택이나 함수 프롤로그가 망가지면 ebp 기준으로 해석하는 k 명령은 콜 스택을 제대로 표시하지 못할 수 있다.

뭔가 콜 스택이 이상하다고 느껴지면 주저없이 dps esp(64비트는 rsp) 명령으로 스택을 확인하거나 k=address 명령으로 콜 스택을 재구성해보자. 의외의 단서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Dump Analysis' 카테고리의 다른 글

[0xC5] 풀 헤더 손상  (0) 2018.07.16
[0x1A] 페이지 손상  (0) 2018.07.12
[0x50] 해제된 핸들  (0) 2018.07.09
[0x50] UNICODE_STRING  (0) 2018.07.05
필터매니저(fltmgr.sys) 버그? DRAINING ZOMBIED 와 DOE_UNLOAD_PENDING  (0) 2015.01.22
2018. 7. 5. 22:20

이번 덤프는 문자열 처리 중 유효하지 않은 메모리 영역에 접근하여 발생한 BSOD다.

0x50은 BugCheck 코드명을 의미하며 BSOD 유형을 분류한 것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이 코드는 주로 접근할 수 없는 메모리 주소 영역을 접근했을 때 발생한다.

분석이 크게 어렵지는 않으니 가볍게 읽을 수 있을 것이다.

항상 분석의 시작은 !analyze -v 로 시작하는 것이 정석이다.

kd> !analyze -v

*******************************************************************************

*      *

*      Bugcheck Analysis   *

*      *

*******************************************************************************

PAGE_FAULT_IN_NONPAGED_AREA (50)

Invalid system memory was referenced.  This cannot be protected by try-except.

Typically the address is just plain bad or it is pointing at freed memory.

Arguments:

Arg1: a0f6c000, memory referenced.

Arg2: 00000000, value 0 = read operation, 1 = write operation.

Arg3: 92140037, If non-zero, the instruction address which referenced the bad memory

       address.

Arg4: 00000000, (reserved)

 

Debugging Details:

------------------

DUMP_CLASS: 1

DUMP_QUALIFIER: 401

BUILD_VERSION_STRING:  7601.17514.x86fre.win7sp1_rtm.101119-1850

SYSTEM_MANUFACTURER:  VMware, Inc.

VIRTUAL_MACHINE:  VMware

SYSTEM_PRODUCT_NAME:  VMware Virtual Platform

SYSTEM_VERSION:  None

BIOS_VENDOR:  Phoenix Technologies LTD

BIOS_VERSION:  6.00

BIOS_DATE:  07/31/2013

BASEBOARD_MANUFACTURER:  Intel Corporation

BASEBOARD_PRODUCT:  440BX Desktop Reference Platform

BASEBOARD_VERSION:  None

DUMP_TYPE:  1

BUGCHECK_P1: ffffffffa0f6c000

BUGCHECK_P2: 0

BUGCHECK_P3: ffffffff92140037

BUGCHECK_P4: 0

READ_ADDRESS:  a0f6c000 Paged pool

FAULTING_IP:

MyDrv+1037

92140037 0fb708          movzx   ecx,word ptr [eax]

MM_INTERNAL_CODE:  0

IMAGE_NAME:  MyDrv.sys

DEBUG_FLR_IMAGE_TIMESTAMP:  5a1cdd5a

MODULE_NAME: MyDrv

FAULTING_MODULE: 9213f000 MyDrv

CPU_COUNT: 1

CPU_MHZ: e07

CPU_VENDOR:  GenuineIntel

CPU_FAMILY: 6

CPU_MODEL: 3c

CPU_STEPPING: 3

CPU_MICROCODE: 6,3c,3,0 (F,M,S,R)  SIG: 19'00000000 (cache) 19'00000000 (init)

DEFAULT_BUCKET_ID:  WIN7_DRIVER_FAULT

BUGCHECK_STR:  0x50

PROCESS_NAME:  explorer.exe

CURRENT_IRQL:  2

ANALYSIS_SESSION_HOST:  PAUL-PC

ANALYSIS_SESSION_TIME:  11-28-2017 14:40:07.0617

ANALYSIS_VERSION: 10.0.10575.567 amd64fre

 

TRAP_FRAME:  8b4a8a90 -- (.trap 0xffffffff8b4a8a90)

ErrCode = 00000000

eax=a0f6c000 ebx=a0e78680 ecx=0000006c edx=a0f6c000 esi=846c5838 edi=8b4a8b5c

eip=92140037 esp=8b4a8b04 ebp=8b4a8b0c iopl=0         nv up ei pl nz ac po nc

cs=0008  ss=0010  ds=0023  es=0023  fs=0030  gs=0000             efl=00010212

MyDrv+0x1037:

92140037 0fb708          movzx   ecx,word ptr [eax]       ds:0023:a0f6c000=????

Resetting default scope

 

LAST_CONTROL_TRANSFER:  from 82a783d8 to 82ac541b

 

STACK_TEXT: 

8b4a8a78 82a783d8 00000000 a0f6c000 00000000 nt!MmAccessFault+0x106

8b4a8a78 92140037 00000000 a0f6c000 00000000 nt!KiTrap0E+0xdc

8b4a8b0c 82ca639c 84653218 00000564 8b4a8b5c MyDrv+0x1037

8b4a8b34 82c8e27f 84653218 00000564 82b79b84 nt!PsCallImageNotifyRoutines+0x62

8b4a8be8 82c7ed4a 84664d80 85eb6030 8b4a8ce4 nt!MiMapViewOfImageSection+0x670

8b4a8c58 82c7ee3a 85eb6030 8b4a8ce4 00000000 nt!MiMapViewOfSection+0x22e

8b4a8c88 82c7f599 9fcdb1e8 85eb6030 8b4a8ce4 nt!MmMapViewOfSection+0x2a

8b4a8d04 82a751ea 00001458 ffffffff 0cccee94 nt!NtMapViewOfSection+0x204

8b4a8d04 771d70b4 00001458 ffffffff 0cccee94 nt!KiFastCallEntry+0x12a

0cccefa0 00000000 00000000 00000000 00000000 0x771d70b4

 

STACK_COMMAND:  kb

THREAD_SHA1_HASH_MOD_FUNC:  53ccc111e8062d929cc0fad19df6ef4e0edf76dd

THREAD_SHA1_HASH_MOD_FUNC_OFFSET:  23675873345d32020fde61dc27c04558a8fd2339

THREAD_SHA1_HASH_MOD:  4e5c1c39aac5cd40526a2d8509134f551a034639

 

FOLLOWUP_IP:

MyDrv+1037

92140037 0fb708          movzx   ecx,word ptr [eax]

 

FAULT_INSTR_CODE:  8508b70f

SYMBOL_STACK_INDEX:  2

SYMBOL_NAME:  MyDrv+1037

FOLLOWUP_NAME:  MachineOwner

FAILURE_BUCKET_ID:  0x50_MyDrv+1037

BUCKET_ID:  0x50_MyDrv+1037

PRIMARY_PROBLEM_CLASS:  0x50_MyDrv+1037

TARGET_TIME:  2017-11-28T05:34:28.000Z

OSBUILD:  7601

OSSERVICEPACK:  1000

SERVICEPACK_NUMBER: 0

OS_REVISION: 0

SUITE_MASK:  272

PRODUCT_TYPE:  1

OSPLATFORM_TYPE:  x86

OSNAME:  Windows 7

OSEDITION:  Windows 7 WinNt (Service Pack 1) TerminalServer SingleUserTS

OS_LOCALE: 

USER_LCID:  0

OSBUILD_TIMESTAMP:  2010-11-20 17:42:49

BUILDDATESTAMP_STR:  101119-1850

BUILDLAB_STR:  win7sp1_rtm

BUILDOSVER_STR:  6.1.7601.17514.x86fre.win7sp1_rtm.101119-1850

ANALYSIS_SESSION_ELAPSED_TIME: 766

ANALYSIS_SOURCE:  KM

FAILURE_ID_HASH_STRING:  km:0x50_mydrv+1037

FAILURE_ID_HASH:  {348be9c7-8048-f84c-6228-bb7942eb0452}

Followup:     MachineOwner

---------


.trap 명령을 사용해서 문제가 발생한 부분으로 컨텍스트 정보를 설정해보자.

kd> .trap 0xffffffff8b4a8a90

ErrCode = 00000000

eax=a0f6c000 ebx=a0e78680 ecx=0000006c edx=a0f6c000 esi=846c5838 edi=8b4a8b5c

eip=92140037 esp=8b4a8b04 ebp=8b4a8b0c iopl=0         nv up ei pl nz ac po nc

cs=0008  ss=0010  ds=0023  es=0023  fs=0030  gs=0000             efl=00010212

MyDrv+0x1037:

92140037 0fb708          movzx   ecx,word ptr [eax]       ds:0023:a0f6c000=????


eax가 가리키는 a0f6c000 메모리 영역이 접근할 수 없는 영역이라 BSOD가 발생했다.

kv 명령어로 파라미터를 포함한 콜 스택을 확인해보자.

kd> kv

  *** Stack trace for last set context - .thread/.cxr resets it

 # ChildEBP RetAddr  Args to Child             

00 8b4a8b0c 82ca639c 84653218 00000564 8b4a8b5c MyDrv+0x1037

01 8b4a8b34 82c8e27f 84653218 00000564 82b79b84 nt!PsCallImageNotifyRoutines+0x62

02 8b4a8be8 82c7ed4a 84664d80 85eb6030 8b4a8ce4 nt!MiMapViewOfImageSection+0x670

03 8b4a8c58 82c7ee3a 85eb6030 8b4a8ce4 00000000 nt!MiMapViewOfSection+0x22e

04 8b4a8c88 82c7f599 9fcdb1e8 85eb6030 8b4a8ce4 nt!MmMapViewOfSection+0x2a

05 8b4a8d04 82a751ea 00001458 ffffffff 0cccee94 nt!NtMapViewOfSection+0x204

06 8b4a8d04 771d70b4 00001458 ffffffff 0cccee94 nt!KiFastCallEntry+0x12a (FPO: [0,3] TrapFrame @ 8b4a8d34)

07 0cccefa0 00000000 00000000 00000000 00000000 0x771d70b4


nt 커널에서 콜백 함수로 호출해주는 MyDrv 모듈의 MyDrv+0x1037 함수에서 문제가 발생했다.

이 콜백은 PsSetLoadImageNotifyRoutine을 통해 미리 등록하면 exe dll 등의 파일이 로드될 때 해당 모듈의 정보를 받을 수 있는 함수다.

MyDrv 모듈 심볼은 없지만 콜 스택에서 PsSetLoadImageNotifyRoutine 함수 다음에 호출된 함수이므로 해당 콜백임을 알 수 있다.

나는 이 콜백을 편의상 LoadImageNotifyRoutine이라고 부른다.

다행히 BSOD가 발생한 위치도 명확하고 콜 스택도 단순한 편이라 마지막 MyDrv+0x1037 부분만 분석하면 답을 찾을 수 있겠다..

다음은 BSOD가 발생한 MyDrv+0x1037 부분이 포함되도록 함수 시작부터 디스어셈블링한 내용이다.

kd> u 92140010 L19

MyDrv+0x1010:

92140010 8bff            mov     edi,edi

92140012 55              push    ebp

92140013 8bec            mov     ebp,esp

92140015 83ec08          sub     esp,8

92140018 0fb60520201492  movzx   eax,byte ptr [MyDrv+0x3020 (92142020)]

9214001f 83f801          cmp     eax,1

92140022 752e            jne     MyDrv+0x1052 (92140052)

92140024 8b4d08          mov     ecx,dword ptr [ebp+8]  // 1) 번째 파라미터 ecx 저장(ecx = ebp + 8)

92140027 8b5104          mov     edx,dword ptr [ecx+4]  // 2) 번째 파라미터의 +4 위치 edx 저장(edx = ecx + 4)

9214002a 8955fc          mov     dword ptr [ebp-4],edx

9214002d c745f800000000  mov     dword ptr [ebp-8],0

92140034 8b45fc          mov     eax,dword ptr [ebp-4]  // 3) 루프 시작

92140037 0fb708          movzx   ecx,word ptr [eax]     // 4) 2바이트 읽음, BSOD 발생 위치

9214003a 85c9            test    ecx,ecx                // 5) 값이 NULL 이면 루프 종료

9214003c 7414            je      MyDrv+0x1052 (92140052)

9214003e 8b55fc          mov     edx,dword ptr [ebp-4]

92140041 83c202          add     edx,2                  // 6) 다음 2바이트로 이동

92140044 8955fc          mov     dword ptr [ebp-4],edx

92140047 8b45f8          mov     eax,dword ptr [ebp-8]

9214004a 83c001          add     eax,1

9214004d 8945f8          mov     dword ptr [ebp-8],eax

92140050 ebe2            jmp     MyDrv+0x1034 (92140034) // 7) NULL 아니면 3)번으로 이동해서 다음 2바이트 읽기

92140052 8be5            mov     esp,ebp

92140054 5d              pop     ebp

92140055 c20c00          ret     0Ch


MyDrv 모듈에서 nt 커널에서 전달 받은 첫 번째 파라미터로 뭔가 반복적인 처리를 하다 문제가 발생했다.

전달된 파라미터가 이상했거나 잘못된 방식으로 파라미터를 처리했을 가능성이 의심된다.

첫 번째 파라미터의 정체를 알기 위해 LoadImageNotifyRoutine 콜백(MyDrv+0x1037)의 함수 원형을 MSDN에서 찾아보자.

우선 콜백을 등록하는 PsSetLoadImageNotifyRoutine 함수를 먼저 살펴보자.

NTSTATUS PsSetLoadImageNotifyRoutine(

  _In_ PLOAD_IMAGE_NOTIFY_ROUTINE NotifyRoutine

);


PLOAD_IMAGE_NOTIFY_ROUTINE 함수 포인터를 전달해주면 나중에 DLL 등의 파일이 커널로 로드될 때 이 함수 포인터가 콜백으로 불리는 방식이다.

이제 PLOAD_IMAGE_NOTIFY_ROUTINE을 살펴보자.

PLOAD_IMAGE_NOTIFY_ROUTINE SetLoadImageNotifyRoutine;

 

void SetLoadImageNotifyRoutine(

  _In_opt_ PUNICODE_STRING FullImageName,

  _In_     HANDLE          ProcessId,

  _In_     PIMAGE_INFO     ImageInfo

);



아하, 첫 번째 파라미터는 커널과 드라이버에서 자주 사용하는 문자열 형식인 UNICODE_STRING 구조체의 포인터다. MSDN을 읽어보면 로드되는 이미지의 전체 경로를 UNICODE_STRING 형태로 알려준다.

이제 파라미터의 정체를 알았으니 dt 명령으로 UNICODE_STRING 구조체의 내용을 살펴보자.

kd> dt _UNICODE_STRING

nt!_UNICODE_STRING

   +0x000 Length           : Uint2B

   +0x002 MaximumLength    : Uint2B

   +0x004 Buffer           : Ptr32 Uint2B


4바이트는 문자열의 크기와 문자열 버퍼의 최대 크기로 바이트 단위다. 다음 4바이트는 문자열 버퍼의 포인터다.

구조체를 보니 앞서 함수 앞 부분에서 수행했던 연산들의 의미를 알 것 같다. 2)번 이후의 연산들은 결국 UNICODE_STRING 구조체의 +4 위치에 있는 Buffer를 가지고 와서 NULL을 만날 때까지 2바이트 씩 읽는 동작이다.

2바이트 씩 읽은 이유는 UNICODE_STRING Buffer WCHAR의 포인터인 PWSTR 자료형이기 때문이다.

앞서 1)번에서 ebp+8이 첫 번째 파라미터인 것을 확인했으니 동일하게 dt 명령으로 확인해보자.

kd> dt nt!_UNICODE_STRING poi(ebp+8)

 "\Windows\assembly\GAC_MSIL\Microsoft.Web.Delegation.resources\7.1.0.0_it_31bf3856ad364e35\Microsoft.Web.Delegation.resources.dll"

   +0x000 Length           : 0x100

   +0x002 MaximumLength    : 0x100

   +0x004 Buffer           : 0xa0f6bf00  "\Windows\assembly\GAC_MSIL\Microsoft.Web.Delegation.resources\7.1.0.0_it_31bf3856ad364e35\Microsoft.Web.Delegation.resources.dll"


ebp+8 위치의 값이 UNICODE_STRING 포인터이므로 입력된 주소의 값을 가져오는 poi 명령을 사용했다.

poi(x)는 x라는 메모리 주소의 내용을 읽는 구문이다.

C 언어에서 포인터의 값을 읽을 때

value = *x;

로 표현하는데

value = poi(x)

라고 생각하면 쉽다.


Buffer 필드에 "\Windows\assembly\GAC_MSIL\Microsoft.Web.Delegation.resources\7.1.0.0_it_31bf3856ad364e35\Microsoft.Web.Delegation.resources.dll" 문자열이 보이고, Length, MaximumLength는 0x100이.

문자열을 직접 세보니 128자였다. Length 0x100이고 바이트 크기니 0x100 10진수인 256 WCHAR 크기인 2로 나누면 정확하게 128이 나온다.

MaximumLength Buffer a0f6bf00의 최대 크기로 접근 가능한 영역을 의미한다. Length와 크거나 같으면 되므로 정상이다.

 

입력된 파라미터에는 이상한 부분이 보이지 않는데 왜 문제가 발생했을까?

MyDrv 모듈에서는 Buffer a0f6bf00 값을 직접 접근해서 NULL을 만날 때까지 2바이트 씩 증가하는 루프를 수행했다. 아무래도 이 동작에 문제가 있을 것 같다.

db 명령으로 a0f6bf00 내용을 확인해보자.


kd> db a0f6bf00 L110

a0f6bf00  5c 00 57 00 69 00 6e 00-64 00 6f 00 77 00 73 00  \.W.i.n.d.o.w.s.

a0f6bf10  5c 00 61 00 73 00 73 00-65 00 6d 00 62 00 6c 00  \.a.s.s.e.m.b.l.

a0f6bf20  79 00 5c 00 47 00 41 00-43 00 5f 00 4d 00 53 00  y.\.G.A.C._.M.S.

a0f6bf30  49 00 4c 00 5c 00 4d 00-69 00 63 00 72 00 6f 00  I.L.\.M.i.c.r.o.

a0f6bf40  73 00 6f 00 66 00 74 00-2e 00 57 00 65 00 62 00  s.o.f.t...W.e.b.

a0f6bf50  2e 00 44 00 65 00 6c 00-65 00 67 00 61 00 74 00  ..D.e.l.e.g.a.t.

a0f6bf60  69 00 6f 00 6e 00 2e 00-72 00 65 00 73 00 6f 00  i.o.n...r.e.s.o.

a0f6bf70  75 00 72 00 63 00 65 00-73 00 5c 00 37 00 2e 00  u.r.c.e.s.\.7...

a0f6bf80  31 00 2e 00 30 00 2e 00-30 00 5f 00 69 00 74 00  1...0...0._.i.t.

a0f6bf90  5f 00 33 00 31 00 62 00-66 00 33 00 38 00 35 00  _.3.1.b.f.3.8.5.

a0f6bfa0  36 00 61 00 64 00 33 00-36 00 34 00 65 00 33 00  6.a.d.3.6.4.e.3.

a0f6bfb0  35 00 5c 00 4d 00 69 00-63 00 72 00 6f 00 73 00  5.\.M.i.c.r.o.s.

a0f6bfc0  6f 00 66 00 74 00 2e 00-57 00 65 00 62 00 2e 00  o.f.t...W.e.b...

a0f6bfd0  44 00 65 00 6c 00 65 00-67 00 61 00 74 00 69 00  D.e.l.e.g.a.t.i.

a0f6bfe0  6f 00 6e 00 2e 00 72 00-65 00 73 00 6f 00 75 00  o.n...r.e.s.o.u.

a0f6bff0  72 00 63 00 65 00 73 00-2e 00 64 00 6c 00 6c 00  r.c.e.s...d.l.l.

a0f6c000  ?? ?? ?? ?? ?? ?? ?? ??-?? ?? ?? ?? ?? ?? ?? ??  ????????????????


이런! a0f6bf00 위치에 접근할 때 BSOD가 발생했는데 메모리 내용을 보니 문자열 끝에 NULL(0x00) 값이 존재하지 않는다. a0f6c000부터는 페이지 아웃되어 접근할 수 없는 영역이다.

문자열 버퍼인 a0f6bf00 MaximumLength 크기인 a0f6bfff까지만 접근 가능한데, 이 영역을 넘어 a0f6c000까지 접근하다 BSOD가 발생한 것이다.

MyDrv에서 UNICODE_STRING의 특징을 잘 모르고 사용한 것이 문제의 원인이다.

MSDN을 찾아보면 만약 Buffer 필드의 문자열이 NULL 문자로 끝날 경우 Length 필드의 길이는 NULL 문자를 포함하지 않는다고 적혀있다. UNICODE_STRING Buffer 문자열이 NULL 로 끝나지 않을 수 있음을 암시하고 있는 것이다.


Remarks : If the string is null-terminated, Length does not include the trailing null character.



MyDrv는 아마 다음과 같은 함수를 구현해서 사용하다 BSOD를 발생시켰을 것이다.

다음에 소개하는 GetLength, TestFunc1, TestFunc2 함수는 이해를 돕기 위해 내가 작성해 본 의사 코드(Pseudo Code). GetLength 함수는 문자열의 길이를 구하는 함수고, TestFunc1, TestFunc2 함수는 GetLength 함수를 사용하는 함수를 의미한다.


ULONG

GetLength(PWSTR pImagePath)

{

       ULONG ulLength = 0;

 

       while (*pImagePath)

       {

             pImagePath ++;

             ulLength ++;

       }

 

       return ulLength;

}

 

VOID

TestFunc1(PWSTR pImagePath)

{

       ulCount = GetLength(pImagePath);

}

 

VOID

TestFunc2(PUNICODE_STRING pImagePath)

{

       ulCount = GetLength(pImagePath->Buffer);

}


GetLength 함수는 단순하게 문자열 길이를 구하는 함수인데 입력된 문자열에서 NULL 값을 만날 때까지 포인터를 하나씩 증가시키며 문자열 길이를 센다. 얼핏 보기에는 문제가 없어 보이지만 이 함수에는 심각한 문제가 숨어 있다. 바로 문자열이 항상 NULL로 끝난다고 가정하는 것이다.

문제를 단순화하기 위해 TestFunc1, TestFunc2 함수에 전달되는 pImagePath 파라미터는 항상 유효하다고 가정해보자.

TestFunc1 함수는 언제나 잘 동작할 것이다. 하지만 TestFunc2 함수는 BSOD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왜냐하면 UNICODE_STRING Buffer 문자열은 NULL로 끝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절대로 UNICODE_STRING Buffer pusImagePath->Buffer 형태로 직접 사용하면 안된다.

문자열 길이를 구하기 위함이라면 단순히 UNICODE_STRING Length를 사용하면 된다. Buffer의 값을 사용할 때는 반드시 Length 필드를 확인해서 유효한 메모리 영역만 접근해야 한다.

 

과거 코드 리뷰 중 다음과 같은 코드를 본 기억이 난다.


SomeFunc(…)

{

       PWSTR pszImagePath;

 

       // 절대로 된다!

       pszImagePath = pusImagePath->Buffer;

}


이런 코드를 본다면 머릿속에서 경고음이 마구 울려야 한다.

 

다시 한 번 말하지만 절대로 UNICODE_STRING의 문자열 버퍼가 NULL로 끝날 것이라 가정하지 마라. 그리고 UNICODE_STRING은 가급적 가공하지 말고 그대로 사용하도록 하자.

RtlUnicodeStringxxx로 시작하는 API를 사용하는 편이 좋고, 만약 Buffer 필드를 직접 사용해야 한다면 반드시 Length 필드를 함께 확인하는 습관을 들이자.

안타깝게도 개발을 하다보면 이런 주의 사항을 알고도 잊어 버리는 경우가 종종 있다.

보통 문자열을 다룰 때 많은 버그가 발생하게 되는데 UNICODE_STRING을 다룰 때는 좀 더 긴장하는 편이 좋다.

가장 좋은 방법은 문자열을 다룰 때 RtlStringCbxxx, RtlStringCchxxx 계열의 안전한 문자열 API를 사용하는 것이다.

이런 API가 사용된 코드는 문자열 관련 버그나 버퍼 오버플로우 같은 문제가 쉽게 발생하지 않는다.



'Dump Analysis' 카테고리의 다른 글

[0xC5] 풀 헤더 손상  (0) 2018.07.16
[0x1A] 페이지 손상  (0) 2018.07.12
[0x50] 해제된 핸들  (0) 2018.07.09
[0x50] 숨겨진 콜 스택  (0) 2018.07.07
필터매니저(fltmgr.sys) 버그? DRAINING ZOMBIED 와 DOE_UNLOAD_PENDING  (0) 2015.01.22
prev"" #1 next